2025 미국주식 휴장일, 거래시간, 섬머타임
섬머타임에 해당하는 날들은 1시간씩 앞당겨져, 한국시간으로 프리마켓이 17:00 ~ 22:30까지, 정규마켓이 22:30 ~ 05:00 까지, 애프터마켓이 05:00 ~ 07:30 까지, 이렇게 운영됩니다. 추가로, 한국 증권사에서 미국 주식의 주간 거래(낮 시간)도 가능하오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현재 주간거래는 일시 정지된 상태로, 조만간 재개되리라 생각합니다.) 토, 일요일을 포함하여, 위에 나열된 날들은 미국 주식 장이 열리지 않습니다. 그리고 조기종료일들은 현지시간 13시에 장이 종료됩니다.
더보기
미국 3대 지수에서 얻는 통찰력
지난 포스팅에서 미국의 다우지수, SNP500, 나스닥지수 이렇게 3대 지수에 대하여 설명했다. 2023.01.10 - [미국 주식] - 미국 3대 거래소, 미국 3대 지수 종결판 미국 3대 거래소, 미국 3대 지수 종결판 스마트폰으로 증권 앱을 보면 흔하게 볼 수 있는 화면입니다. 자 여기에서 일부분만 확대 해 보겠습니다. 스타벅스, 코카콜라, NRGU 세 가지의 종목이 보이고, 그 아래 각각 나스낙, 뉴욕, 아멕스 tqqqsoxl.tistory.com 3대 지수를 위험도에 따라 구분을 해보자면, 다우지수는 고전적인 기업, 오래되고 튼튼하여 급등락이 없는 가치주가 많이 있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약하며 안전자산으로 평가할 수 있다. 나스닥지수는 다우지수와 반대로, 발전가능성이 무궁무진하기도 하며..
더보기
레버리지는 녹는다? 디케이? 웃기지 말라 그래!
레버리지는 녹는다 레버러지 끌림, 변동성 끌림 레버리지 ETF 투자의 위험성 레버리지 잠식(Leverage Decay) 레버리지는 장기투자에 적합하지 않다. 흔히 레버리지 또는 유명한 레버리지 상품들(TQQQ, SOXL 등)을 검색하면 나오는 이슈들이다. 자, 유명한 미국주식 까페에서 흔히들 나오는 질문들이며, 어김 없이 달리는 댓글들입니다. "2배, 3배 레버러지는 위험하다", "청산당할 수 있다", "녹는다", "TQQQ로 장기투자는 미친짓이다" 과연 그럴까? ETF?? 먼저 ETF에 대해 간략하게 짚고 넘어가보자. 미국 주식에는 ETF들이 많다. ETF는 한 종목 또는 섹터, 여러 종목을 묶어서 분산투자하거나 재투자 하는 펀드를 말한다. 예를 들어, "난 테슬라,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
더보기
미국 3대 거래소, 미국 3대 지수 종결판
스마트폰으로 증권 앱을 보면 흔하게 볼 수 있는 화면입니다. 자 여기에서 일부분만 확대 해 보겠습니다. 스타벅스, 코카콜라, NRGU 세 가지의 종목이 보이고, 그 아래 각각 나스낙, 뉴욕, 아멕스가 보입니다. 윗 부분은 종목명이고, 아랫 부분이 거래소 입니다. 거래소가 왜 여러개일까요? 우리나라는 한국증권거래소라는 단일거래소만 있으며, 시장은 2가지로 코스피와 코스닥이 있죠? 코스피와 코스닥은 상장할 수 있는 규모의 차이로, 코스피가 형, 코스닥이 동생 정도로 이해하면 좋습니다. 미국은 뉴욕증권거래소, 나스닥, 아멕스 이렇게 3가지 거래소가 있습니다. 미국 3대 거래소 NYSE 뉴욕증권거래소 빅보드라고 불리는데요, 뉴스에서 미국주식 하면 흔히 보이는, 모니터가 주렁주렁 달린 모습입니다. 1792년 증권..
더보기
왜 한국주식을 놔두고 미국주식을 하는가?
뭣 모르고 20대 초반에 한국주식을 접하게 되어, 초심자의 행운, 남의 말 듣고 사기, 적게 먹고 큰 수익 놓치기, 북한 미사일 뉴스에 놀라서 팔아보기, 대선 테마주에 투자하기 등등 주식쟁이라면 겪어봄직한 이벤트 내지 마음의 동요 등은 대부분 겪어봤다고 말할 수 있겠다. 다시는 주식을 하지 않겠다고 다짐도 해보고, 수 년간 지켜보기도 했다. HMM 가장 최근에는 HMM에 13,000원에 투자하여 최고점에 팔지 못하고 2만원 후반에 팔고 나오면서, 벌긴 벌었지만 배아픈(?) 경험을 마지막으로 한국 주식 투자를 접었다. HMM은 구 현대상선으로, 경영악화로 인하여 파산 직전까지 내몰렸다가 오랜 시간동안 채권단 산하에서 구조조정, 내실을 다지고, 코로나로 인하여 물류가 늘어나는 시기를 발판 삼아 과감한 투자와..
더보기
2023 미국주식 휴장일, 거래시간, 섬머타임
섬머타임에 해당하는 날들은 1시간씩 앞당겨져, 한국시간으로 프리마켓이 17:00 ~ 22:30까지, 정규마켓이 22:30 ~ 05:00 까지, 애프터마켓이 05:00 ~ 07:30 까지, 이렇게 운영됩니다. 2023년의 특이사항으로, 2022년 3월 상원에서 섬머타임을 영구적으로 고정한다는 법안이 통과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3월 12일에 섬머타임제도가 시작되어 11월 5일에 끝나지 않고 영구적으로 고정될 예정입니다. 고정될 예정이었으나 원래대로 2023년도 11월 5일에 섬머타임이 끝날 예정입니다. 토, 일요일을 포함하여, 위에 나열된 날들은 미국 주식 장이 열리지 않습니다. 그리고 아래 조기종료일들은 현지시간 13시에 장이 종료되며, 결제불가일은 주식주문에는 영향을 주진 않습니다.
더보기